▣ 現在 保管중인 族譜 現況(족보현황)

 

 

발간년도

족보명

권수

비고

1688년

戊辰譜(무진보)

乾, 坤

최초족보(인쇄본)

1758년

戊寅譜(무인보)

1 ~ 5권

 

1807년

丁卯譜(정묘보)

1 ~ 10권

 

1957년

丁酉譜(정유보)

1 ~ 23권

 

1988년

戊辰譜(무진보)

1 ~ 10권

 

2014년

甲午譜(갑오보)

1 ~ 13권

 

 

 

1. 族譜(족보)의 槪念(개념)

족보란 한 씨족의 역사적인 사실을 기록한 책으로서 동일 혈족의 原流(원류)와 家統(전통)의 繼承(계승)을 수록한 한 氏族(씨족)의 역사책이다.

족보 또는 譜牒(보첩)이라고 하다.

 

2. 族譜의 種類(종류)

가 大同譜(대동보) : 시조할아버지를 爲始(위시)하여 咸李 전체를 통합하여 만든 족보

나. 波譜(파보) : 파별로 만든 족보

다. 家乘譜(가승보) : 시조부터 자기까지 직계 조상만을 수록하여 만든 족보

 

과거 조상님은 亂離(난리)가 있을 때에도 조상의 뿌리를 잃지 않기 위하여 가승보만은 가슴속 깊이 지니고 다녔으며 평화시에는 재난을 피하고자 장롱 속에 깊이 간수하여 가승보를 보존하여 왔던 것이다.

※ 함평이씨 족보 간행내역은 홈페이지 뿌리탐구-족보간행내역에 등재되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甲午譜(갑오보, 2014년) 內譯

가. 족보는 19,120페이지 총 13권으로 되어 있다.

1권에는 시조산소와 경모재를 비롯하여 23개파의 16세까지 묘소, 단, 사우, 재각, 중요 자료 사진과 목차, 역대 대동보 편찬위원장 서문, 항열도, 기제사 축문 등, 분파도를 수록하였고 子孫錄(자손록) 편에는 시조 彦(언)자 할아버지부터 16世까지 수록하였다.

말미에 색인부를 수록하여 가나다순으로 자기 이름과 아버지이름, 권수, 페이지를 기재하여 열람이 쉽게 하였다.

2권부터는 파별로 편찬하였다.

 

나. 이번 대동보는 파보형식으로 편찬되었다.

88년 무진보까지는 대동보를 파를 초월하여 전체적으로 10권을 발간하였으나 족보 보관을 위해서는 10권을 보유해야 함에 따라 비용의 문제, 보관의 문제 등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고자 파보 형식으로 발간하면서 1권은 공통부분이고

2권부터는 파별로 다음과 같이 편찬하여 1권과 합하여 1질로 하였다.

2권 : 감정공파, 동백진사공파, 운봉공파

3권 : 지춘현감공파, 지양공파, 교수공파

4권, 5권 : 함성군파

6권 : 참판공파

7권 : 대교공파. 성근진사공파, 지평공파

8권 : 숙연부사공파, 규연공파, 종성군파

9권 : 기성군파

10권, 11권 : 효우공파

12권 : 현령공파, 와부사공파, 온파, 목사공파

13권 : 판관공파, 손무현감공파, 사직공파

※ 함성군파와 효우공파는 분량이 많아 2권으로 분리

 

다. 이번 대동보는 인터넷 족보로 편찬하였다.

2014년 갑오보를 편찬하면서 홈페이지를 구축하였고홈페이지네 인터넷족보 란에 대동보를 원안대로 등재하였다.

족보상의 기록된 본인, 아버지 성함을 입력하면 본인의 족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족보 변동사항은 책자 형태는 수정할 수 없으나 인터넷 족보는 수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만, 수정 후 업데이트에 비용이 발생하므로 수정 자료를 취합하여 일정 분량이 확보되면 수정 신청자의 부담으로 인터넷 족보를 수정할 계획이다.

 

라. 기재사항을 새로워졌다.

신청인이 원하는 경우 남녀(부인포함) 모두 최종학력, 등재를 원하는 경력 한 가지를 기재하였고, 이전 족보에서는 이름기재시 남자는 반드시 항열을 기재토록 하였으나 이번에는 실재 부르는 이름을 그대로 등재하였고 한글, 한자를 병행하여 기록하였다.

 

 ※ 족보와 관련하여 의문사항은 대종회사무실(☎062-384-2106)로 연락하시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